젠3 5000시리즈 PBO 바이오스 최적 설정 방법(AUSU보드기준)
- [정보]
- 2020. 11. 28.
젠2때 PBO 바이오스 세팅방법은 많은데, 젠3 PBO 바이오스 세탕방법은 많이 안보여서 글을 남깁니다.
우선 제 설정으로 나오는 PBO 개별 클럭은 최대 4.699~5.149Ghz 입니다. 온도는 최대 74~75.5도입니다.
시네벤치 R23 값은 멀티코어 20566 싱글코어 1548 입니다.
4.8Ghz로 수동오버 해봤는데, 개별코어중에 4.8이 안터지는 코어가 있는건지, 바이오스가 불안정한지 코어전압 1.4v 미만으로 했을때 부팅은 되지만, 시네벤치 돌리면 오류뜨는걸로 보아하니,
나중에 바이오스 정식버전 나오고 안정화되거든 다시 시도해보려합니다.
*PBO 바이오스 세팅(보드 : AUSU(아수스) TUF GAMING X570-PRO (WI-FI) 기준입니다.)
1. 컴퓨터 부팅/재부팅 시작후 Eel키를 연타하면 바이오스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2. F7키를 누르거나 위 스샷의 빨간부분을 누르면 세부설정을 만질수 있습니다.
3. 저는 메인에서 언어를 한국어로 변경해두었습니다.
4. AI Tweaker 메뉴로 들어가서 맨처음 램오버 세팅을 합니다.
- 튜닝램의 XMP기능이 AUSU보드에서는 D.O.C.P라고 합니다.
- 누르면 저장되어있는 세팅값을 자동으로 불러옵니다. 램오버관련은 알아서 하셔야합니다.
- 제 튜닝램은 지스킬 3600 CL16-19-19-39-1.35V 입니다.
- 저는 3800 CL16-19-19-39-1.4V 로 올릴꺼라, 위 스샷처럼 설정했습니다.
- FCLK Frequency : 저는 3800으로 올릴꺼라 3800의 절반인 1900값으로 설정했습니다.
- Performance Enhancer : Level 3(OC) 이 세팅은 하셔도되고, 자동으로 하셔도됩니다.
- 동일 메뉴 아래쪽입니다. 저는 램 전압을
-VDDCR CPU 전압 : 위 스샷에는 자동이지만, 수동으로 1.35V로 바꾸는걸 추천 합니다. 자동값이면 1.4V 이상일텐데, CPU 온도가 많이 높아질껍니다.
- VDDCR SOC Voltage Override : 1.2V로 변경하는 이유는 좀더 램오버에 여유를 두기위해서입니다.
- DRAM 전압 : 1.4V 아까 위에서 램오버 전압을 살짝 올렸기때문에 저렇게 수정했습니다.
5. PBO 설정입니다.
- PBO Fmax Enhancer : Enabled (PBO 싱글 클럭이 더 잘터지게 해주는옵션이라고하네요)
- Precislon Boost Overdrive(PBO) : Enabled(꼭 이렇게 설정해야 부스트 클럭이 잘터집니다.)
- Precision Boost Overdrive Scalar : 수동(10x)
- Max CPU Boost Clock Override : 200Mhz
6. 상단의 체크부분 해당 메뉴란을 찾으세요. 위 스샷처럼 수정합니다.
7. XMP(D.O.C.P)값을 불러온다면 자동 등록되어있을테지만, 시금치램으로 수동 램오버하시는분들은 여기서 조정하시면됩니다.
8. 상단의 체크부분 해당 메뉴란을 찾으세요. PSS가 쿨앤콰이어트 기능입니다. PBO 킬때는 켜는게 반응이 더 빨라집니다.
9. 상단의 체크부분 해당 메뉴란을 찾으세요. C-state 또한 켜주세요.
10. 상단의 체크부분 해당 메뉴란을 찾으세요. CPPC가 저기에 숨겨져있더군요. 켜줍니다.
- F10키를 누르면 바이오스 수정값 저장후 재부팅 할꺼냐고 묻는데, 예 하시면 재부팅되실껍니다.
- 혹시나 자꾸 재부팅되거나, 화면이 안나오거나 하면 램오버 실패 증상이니, 기다리면 몇번 재부팅후 자동으로 바이오스 화면 뜰껍니다.
- PBO 설정으로는 부팅문제는 없지만, 수동오버시에는 램오버와 마찬가지 증상이 나타날경우 수동 오버실패입니다.
모두 즐거운 바이오스 세팅으로 팍팍 터지는 PBO를 느껴보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TER유틸리티] 팔월드 원컴2pc 플레이 (1) | 2024.02.17 |
---|---|
로마2토탈워 최적화 방법 (3) | 2020.11.29 |
익스프레스VPN(ExpressVPN) 가입하기 – 할인코드 받아가세요! (0) | 2020.03.07 |